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달리기와 근육 / 달리기를 하면 근육이 커질까?

by my2night 2024. 11. 8.
반응형

달리기는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운동 중 하나입니다. 건강을 위해, 체중을 조절하기 위해, 혹은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이유로 달리기를 합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질문이 있습니다. "달리기를 하면 근육이 커질까?" 이 질문은 단순히 '예' 혹은 '아니오'로 답하기는 어렵습니다. 달리기와 근육 발달 사이의 관계는 생각보다 복잡하고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달리기의 기본적인 메커니즘과 근육 사용

달리기는 전신을 사용하는 유산소 운동입니다. 주로 하체의 대퇴사두근, 햄스트링, 종아리 근육이 활성화되지만, 코어와 상체 근육도 일정 부분 사용됩니다. 빠르게 달리는 스프린트와 지속적으로 속도를 유지하는 장거리 달리기에서는 사용되는 근육의 양상과 강도가 다릅니다.

  • 스프린트: 고강도의 짧은 거리를 빠르게 달릴 때는 빠른 속도로 수축하는 "속근" 섬유를 주로 사용하게 됩니다. 이러한 근섬유는 고강도 훈련에서 근육 크기가 커지기 쉬운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 장거리 달리기: 장거리 달리기에서는 천천히 수축하는 "지근" 섬유가 더 많이 사용됩니다. 이 섬유는 지구력에 중점을 두고 있어 상대적으로 근육이 커지기보다는 오래 버티는 힘을 기르게 됩니다.

 

 

달리기와 근육량의 변화

달리기를 지속적으로 하면 하체 근육의 체력과 지구력은 분명히 증가하지만, 근육의 크기 자체는 달리기의 형태와 강도에 따라 다릅니다.

  • 근육 성장: 보디빌딩과 같은 저속, 고중량 운동이 근육 크기를 크게 증가시키는 데 비해, 일반적인 달리기는 근육 크기 증가 효과가 미미합니다. 특히 장거리 달리기를 주로 하는 사람들은 지구력을 위해 근육이 더 섬세하게 발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근육이 커지기보다는 오히려 더 슬림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 스프린트와 근육 발달: 스프린트와 같은 고강도 훈련은 일종의 저항 운동으로 작용할 수 있어 다리 근육이 더 강하고 탄탄하게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역시 주된 목적은 지구력보다는 파워와 속도에 적합하게 발달합니다.

 

 

달리기와 근손실 위험

달리기를 과도하게 하거나, 칼로리 소모가 많은 상태에서 충분한 영양을 섭취하지 않으면 근육 손실의 위험이 있습니다. 이는 특히 근성장을 목표로 하는 사람들에게는 주의해야 할 부분입니다.

  • 칼로리 조절: 장시간의 유산소 운동은 많은 칼로리를 소모합니다. 따라서 근육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단백질과 칼로리를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교차 훈련: 근손실을 방지하고 달리기로 인한 하체 피로를 줄이기 위해서는 하체 근력 운동과 교차 훈련을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주 2~3회 하체 근력 운동을 추가하면 달리기로 인한 근손실을 줄이고 더 강한 근육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근력 운동의 중요성

달리기와 근육 발달의 관계는 단순한 근육 성장뿐만 아니라 달리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특히 다리와 코어 근육이 강하면 달리기 중 자세를 더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부상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 하체 근력 운동: 스쿼트, 런지, 데드리프트 같은 하체 근력 운동은 달리기 능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이 운동들은 하체의 큰 근육을 단련하여 달리기 시 더 많은 힘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코어 운동: 플랭크, 사이드 플랭크, 러시안 트위스트 같은 코어 운동은 달리기 시 몸의 안정성을 높이고, 더 나은 자세를 유지하도록 도와줍니다. 특히 장거리 달리기 시 자세 유지는 피로를 줄이고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에 도움이 됩니다.

 

 

지금까지 달리기와 근육의 상관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달리기는 단순히 심폐 지구력을 기르는 운동을 넘어서, 올바른 방식으로 운동을 하면 근육 강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스프린트와 같은 고강도 달리기를 병행하거나, 하체와 코어 근육을 강화하는 훈련을 추가한다면 달리기 능력과 근육 모두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